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형 트로피제작 3D프린터가공업체에서 가능해요.

∝포트폴리오/3D프린팅

by 뽀니 2020. 3. 18. 11:00

본문

시기가 시기인만큼 2020 도쿄올림픽을 예정대로 하느냐, 취소하느냐로 사람들의 관심이 많이 몰리고 있습니다.

저 또한 너무 궁금한데요~ 그래서 이것저것 검색하다 보니 우승한 선수들에게 주어지는 메달과 트로피가 눈에 띄어서 오늘은 그 주제로 포스팅할까 해요.

각종 영화제나 스포츠부터 행사, 방송, 촬영 소품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트로피!

기존에 만들어져 있는 디자인도 많지만 내가 원하는 형상으로 자신만의 특별한 트로피를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 있나요?

 

어떤 방법으로 제작하느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추천하는 방법은 3D프린터를 활용한 것인데요, 다양한 소재와 크거나 작거나 크기도 자신이 원하는대로 3D프린터가공업체에서 트로피제작이 가능합니다.

최근 들어 트로피제작업체를 알아보시는 분들이 자신만의 특별한 형상 그리고 대형트로피 제작하고 싶다고 3d프린터가공업체에 문의를 많이 하는데요, 3D프린팅을 활용해서 제작하고자 할까요?

3D프린터는 원재료를 깎아내면서 모형을 만드는 CNC가공과는 다르게 재료를 고온의 노즐에 녹여서 아래부터 위로 한층 한층 쌓아 올려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을 말합니다.

3차원 도면 데이터를 이용해서 입체적인 공간에서 인쇄하는 것이죠.

이 방식을 활용하는 이유는 기존의 방식은 공구(tool)가 들어가지 않는 부분은 깎아내는 것이 불가능하고, 제품의 내부 채움 정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중량조절이 불가능하며 재료를 깎아내서 제작하다 보니 재료 소비도 큽니다.

 

그에 비해 3DPRINTING은 적층가공방식이다 보니 채움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어떤 형상이든 제작가능하며 불필요한 부분에 소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비용도 합리적인 편입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장점은 다품종 소량생산이죠, 1개든 2개든 제작 가능하다는 것!!

그렇다고 3DPRINTER에 장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존 플라스틱 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들에 비해 표면의 조도, 경도는 약한 편이며 적층가공방식인 장비 특성상 결이 보입니다.

 

하지만 표면은 후가공으로도 정리 가능하며 설정에서 노즐 직경을 얇게 하면 보다 나은 퀄리티로 출력 가능합니다.

 

제작 방식에 이러한 장단점이 존재하니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제작하면 되겠죠?

대형 트로피제작을 하기 위해서는 3D데이터가 필요합니다.

기존 3차원 파일이 있다면 그 파일을 받아서 진행하고, 형상을 구상해서 스케치만 있다면 새로 모델링을 하면 됩니다.

디자인 및 설계는 3D프린터가공업체에서도 가능하니 문의하시면 됩니다!

먼저 트로피 디자인을 구상해서 모델링을 하고 디자인 시안을 토대로 완성한 도면을 후가공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편집 작업을 거칩니다.

 

클라이언트와 계속 컨펌을 받으며 디자인 설계 수정이 마무리되면 3D프린팅을 합니다.

RP(Rapid prototype)도 다양한 방식의 프린터가 있기 때문에 장단점을 따져 알맞은 장비에서 출력해야 합니다.

출력 후에는 후가공을 하는데요, 보통 소재를 기본색인 화이트로 출력을 하기 때문에 후가공을 거쳐 원하는 색으로 도색합니다.

크기에 따라서 한 번에 출력하느냐 아니면 파트별로 분할 출력해서 붙여서 제작하느냐로 나뉘는데요, 전자의 경우 퍼티, 샌딩작업을 거쳐서 도색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각 파트를 붙여서 퍼티, 샌딩작업을 합니다.

 

여러 조각을 붙이다 보면 이음새 부분이 표시가 나니까 표면이 매끄럽게 잘 이어져 보이도록 해야 합니다.

트로피제작이 완성되고 필요하다면 케이스를 제작해서 보관하는 것도 좋습니다.

 

특별하고 독창적인 나만의 트로피를 만들고 싶다면 3D프린터가공업체 다만드러로 문의주세요.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