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디자인제품, 고퀄리티 목업 제작하기.

∝포트폴리오/모형제작

by 뽀니 2020. 6. 30. 10:30

본문

여러분들은 보통 물건을 살 때 어떤 것을 보고 구매하시나요?

 

저 같은 경우는 기능도 좋고, 편리해야겠지만 무엇보다 외형이 예쁜 디자인제품을 눈여겨보았다가 구매하는 편인데요, 제가 여자다 보니 남성분들의 취향은 잘 모르겠지만 아마 여성분들 중에는 예쁜거 싫어하는 사람은 분명 없을 거예요.

그만큼 디자인은 어떤 분야에서든 중요한데요, 그렇다면 제품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한 번 알아볼게요.

 

먼저 아이디어를 제품화하기 위해서는 제작 프로세스는 디자인 모델링-설계수정-목업제작-기구설계-워킹목업-양산설계-금형 사출 순으로 진행됩니다.

 

구상한 디자인과 기능을 손으로 스케치하거나 업체에 문의해서 3D형태의 데이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보통 구상단계에서 내가 생각한 것이 실제 제품으로 나올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하시는데요, 확실히 실제 제작 가능 여부! 그 부분이 제일 중요합니다.

 

디자인을 엄청 예쁘게 해서 제작을 했더니 구현 불가능하다 하면 실망이 크겠죠.

그래서 실제로 만들어지는가. 그 점이 제일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아이디어만 있는 상태로 업체 문의를 많이 해주시는데요, 실제로 디자인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업체 선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내가 제작해달라고 해서 군말 없이 무조건 다 만들어주는 회사가 아닌 실제 구현되는지 확인해주고, 구현이 안 된다면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알려주면서 제작 방안에 대해 같이 고민할 수 있는 업체가 좋습니다.

 

아무래도 전문업체는 디자인제품 경험이 많기도 하고, 기능만 들어도 그 부분은 실현 가능한지 아닌지 대략적으론 알 수 있거든요. 그래서 업체를 잘 만나야 한다는 것!!

DESIGN이 되면 외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디자인목업(DESIGN MOCK-UP)을 하게 되는데요, 내가 구상한 아이디어가 외형 모습이 어떤지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실제로 기능적인 부분이 없는.. 예를 들어 도마라던지 그런 제품의 경우는 이 단계만 진행하고 양산에 들어가도 크게 상관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도마의 경우는 특별히 제어같은 움직임이 들어가는 건 아니기 때문에 기능적인 부분 보다는 디자인에 따른 편리함을 많이 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능적인 부분의 테스트가 필요한 경우에는 외관 모형을 확인했다면 기구설계를 진행하고 이어서 워킹목업까지 진행합니다.

WORKING MOCK-UP은 내부에 기구적인 부분들과 PCB 등 모두 갖추어져서 실제 제품의 정상적인 작동 기능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때 시제품제작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진행할 수 있는데 형상이나 크기, 개수, 비용에 따라 달라집니다.

형상이 복잡하고, 크기도 작고, 1, 2개 제작을 한다면 3D프린터를 이용해서 제작하는 것이 비용적이 부분에서 좋으나 퀄리티 부분이 NC가공보다는 떨어질 수 있습니다.

 

물론 NC가공과 3D프린팅의 장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하세요. 라고 강요할 순 없지만 경우에 따라 어떤 방법이 더 효과적인지 어떤 점이 더 좋은지에 대해서 설명해드립니다. 물론 안 해주는 곳도 있겠지만요^^;;

이런 과정들을 다 끝내야 금형설계를 진행하고 사출까지 해서 제품화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제품, 아이디어만 있다고 다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 참고해주세요~

 

목업제작 시 업체들을 많이 찾아 보실텐데요, 뭐니 뭐니해도 모형제작업체 다만드러는 디자인부터 프로토타입제작, 워킹목업, 가공, 금형까지 원스탑서비스를 갖추고 있는 업체로 합리적인 비용으로 최적의 방법을 찾아 고퀄리티 제품을 제작해드립니다.

부담없이 문의주세요~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