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남 창원에서 3D프린팅을 활용한 제품목업 및 모형제작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만드러입니다. 한주도 벌써 마무리에 들어가네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최근 제품개발 과정에서 중요성이 많이 언급되는 시제품 제작 단계에서 활용되는 3D프린터의 출력 가격 산정 요소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3D프린터란 무엇이고 기존의 가공 방식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D프린터 출력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에 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개념 습득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니 다소 지루하더라도 나가지 마시고 끝까지 읽어주세요.
3D프린팅 기술은 RP(Rapid Prototype), AM(additive manufacturing), 쾌속 조형기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설명드리면 뭔가 엄청 복잡해보일것 같아서 여기서는 간단하게 적층가공이라고 표현하겠습니다. 왜냐하면 3D프린팅 기술의 특징을 가장 잘나타내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기존에 제품목업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CNC는 절삭가공이라고 합니다. 원재료를 깎아서 조각하듯이 제품의 형상을 구현하는 방식이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적층가공은 어떨까요? 말 그대로 재료를 밑바닥부터 한층씩 얇게 차례대로 쌓아올려서 3차원의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가공 방식입니다. 이와 같은 제작 방식의 특성 차이로 인해서 생산성, 정밀도, 다품종 소량생산의 효율성 등 다양한 조건에서 차이가 벌어지게 됩니다.
또한 3D프린터도 사용되는 소재와 적층 방식에 따라서 FDM, SLA, SLS, Polyjet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에 관해서는 아래 글을 통해서 확인하세요.
2018.01.18 - [이전 자료/∝ 3D프린터 (이전자료)] - 3D프린터제작회사 알려주는 3d프린터종류와 3d프린팅방식 소개 정리글
3D프린터제작회사 알려주는 3d프린터종류와 3d프린팅방식 소개 정리글
4차산업의 혁명이라고도 불리는 "3D프린팅" 제조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 건축, 항공, 우주산업 등 다양한분야에서 3D프린터의 가능성에 큰 기대를 갖고 있다. 그러나 현재 3D프린팅 시장에 대한 전
damandler.tistory.com
다음으로 제품 목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제품 제작 단계에서는 샘플을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제품의 디자인 설계 등 외관 형상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과 실제 양산품과 동일한 기능과 성능을 구현하여 테스트 및 성능 시험을 위한 목적입니다. 3D프린터 출력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에서 이와 같은 제품목업의 형태 역시 산정되는 요소중 하나입니다. 전자의 경우를 디자인 목업(Design mockup) 후자의 경우를 워킹 목업(Working mockup)이라고 부릅니다.
위에서 3D프린팅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목업의 형태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오늘 포스팅의 주제인 3D프린팅을 활용한 시제품 제작 과정에서 가격을 결정할때 산정되는 요소들은 어떤것을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는 제품의 디자인과 형태입니다. 여기 네모난 직사각형의 제품과 동그란 구형체의 제품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재료를 한층씩 쌓아서 제품의 형상을 구현하는 적층가공 방식의 특성을 생각해 봤을 때 전자와 후자 중 어떤 형태가 생산에 좀더 유리할까요? 단순하게 생각해도 원형 보다는 네모난 형태가 제품 생산이 쉬워보일것 같습니다. 왜 일까요? 이유는 재료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안정성이 원형보다 각진 형태가 좀 유리하기 떄문입니다. 이는 바텀(Bottom)에 안착되는 출력물의 접촉면이 전자의 경우가 더 높기 때문이며 이는 출력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률과 품질, 정밀도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3D프린터 출력 가격의 산정 요소 중 하나로 디자인과 형태를 가장 먼저 말씀드리는 것은 이와 같이 제품의 형상에 따라서, 요구되는 결과물의 사양을 고려하여 3D프린팅 출력 방식, 작업의 난이도, 품질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3D프린터 출력 가격순을 살펴보면 FDM<SLA<SLS<Polyjet 순으로 진행됩니다.
위와 비슷한 맥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적층가공을 통한 제품목업 제작 과정에서는 제품의 용도와 목적 등 다양한 요소들에 따라서 요구되는 사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디자인 목업과 워킹 목업처럼 실제 제품과 동일한 사양을 구현해야 하는 경우에는 아무래도 높은 정밀도가 요구됩니다. 이를 기반으로 RP 가공 방식의 순위를 비교해보면 FDM=SLS<SLA<Polyjet 로 분류됩니다.
다음으로 제품의 크기에 관한 부분입니다. 3D프린터 출력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입니다. 제품의 부피와 무게가 크다는 것은 그만큰 적층 과정에서 사용되는 재료량이 증가한다는 뜻이고, 이는 곧 출력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3D프린터는 최대 빌드 사이즈가 기존의 CNC 가공 방식에 비해서 상당히 작은 편이라 제품의 출력 가능한 빌드 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네는 CAD 설계 도면을 몇 차례 분할하여 따로 생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과정에서 2개 이상의 장비를 활용하여 제품 생산이 진행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위 언급했던 제품목의 2가지 분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집니다. 디자인 목업은 단순 설계 검증이나 외형 디자인 확인을 위한 목적으로 내부 테스트 및 검증용도로 주로 사용됩니다. 그러다보니 별도의 후처리나 도색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반면에 워킹 목업은 다릅니다. 실제 제품과 흡사한 기능을 구현하기 때문에 활용하기에 따라서는 전시회나 박람회 참석시 잠재고객 확보, 바이어 발굴, 제품 홍보 등 다양한 마케팅 및 영업 수단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때에는 차후 활용성을 고려하여 후처리 및 도색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제품목업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후가공이 추가되는 경우에는 추가 인력의 업무 발생, 작업 기간 연장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시제품 제작 과정에서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하고자 할 때 알아두셔야 하는 3D프린터 출력 가격 산정 요소에 대해서 소개해봤습니다. 다만드로는 제품목업부터 각종 전시모형 제작까지 프로토타입(Prototype) 및 3D모델 제작 관련 다양한 업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3D프린터 출력 관련 가격 문의시에는 자사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오른쪽 상단에 견적문의란을 이용하시면 상담 신청이 가능합니다. 견적 문의시에는 디장니 또는 설계도면과 함께 소재, 수량, 예산에 대한 정보를 반드시 기입해주세요. 보내주신 내용 확인 후 당일 담당자가 이메일 또는 기입하신 연락처로 상담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AL), 스테인레스(SUS) 금속 3D프린팅 주문제작 (0) | 2022.04.27 |
---|---|
창원 3D프린터 시제품 제작 업체 다만드러 (0) | 2022.04.23 |
FDM 방식의 장단점 세 가지 간단 정리 (2) | 2022.03.29 |
3D프린팅 SLA방식에 적용되는 레진 종류 (0) | 2022.03.23 |
캐릭터 피규어 소량 제작 비용 효율이 높은 방법 소개 (2) | 2022.02.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