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석고방향제 3D프린팅몰드 마스터 제작 사례

∝포트폴리오/3D프린팅

by 뽀니 2020. 2. 7. 11:40

본문

3D프린터란 종이위에 잉크를 분사하여 결과물을 인쇄하듯 3차원의 입체 형상을 한 층씩(레이어-Layer) 차례대로 쌓아올려 형상을 만들어내는 제조 방식입니다. 다품종 소량생산에 특화된 제작 공정 중 하나로 ABS 계열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등을 주로 사용하며 기존의 가공 방식에 비해서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구현도가 우수하여 각종 시제품제작 및 목업제작 분야, 모형제작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3D프린팅으로 제작한 석고방향제 몰드 마스터 제작 사례를 소개드려볼까 합니다. 보내주신 디자인 컨셉 및 기획안을 바탕으로 3D캐드 툴을 활용하여 목업설계를 진행하였으며 컨펌 후 SLA방식의 출력 방법을 적용하여 마스터(Master-원형)를 제작 해드렸습니다.

위 사례는 문화재를 모티브로 제작된 제품으로 커스터마이징 석고방향제 제작 및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고객분께서 작업을 의뢰주셨습니다. 평소 제품 제작을 위한 마스터 작업을 CNC가공 또는 수작업으로 진행하시다가 3D프린팅 몰드 제작 방식을 활용하면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고 디자인 구현도가 높은 3D프린팅의 장점을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제품의 디자인 강화를 통한 시장경쟁력 확보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되어 업체를 알아보시다 저희 다만드러를 알게되어 연락을 주셨습니다.

 

디자인 설계 작업 후 제작이 완성된 석고방향제 3D프린팅 몰드 마스터 결과물입니다.

 

보시다 시피 디테일한 표현들까지 달 살아나 한눈에 봐도 높은 퀄리티로 완성도 높은 샘플이 제작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D프린터는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말씀들을 많이 하시지만 이는 기계가공에 비해서 낮을 뿐이지 위와 같은 디자인 구현도가 중요한 제품의 경우에 한해서는 SLA방식의 정밀 3D프린터를 활용하면 충분히 원하시는 수준으로 고퀄리티의 몰드 원형 제작이 가능합니다.

 

 

위와 같은 경우는 출력된 제품에 후가공 작업을 진행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표면의 미세한 결(적층 라인)을 서페이서로 도포한 이후의 모습입니다. 3D프린팅 몰드 마스터를 제작 하실때는 반드시 이렇게 적층 라인을 감추기 위한 서페이서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후가공 전후 사진을 보시면 사진상에서는 색상이 바뀐 것 외에는 그다지 차이가 느껴지지 않을 수 있지만 실제 제품을 가까이서 들여다보면 아주 미세하게 각각의 레이어가 적층과정에서 냉각/수축으로 인해 방생하는 단차로 인해 일반적인 플라스틱 사출품과 비교하여 거친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스터를 활용하여 몰드를 제작할 때 이렇게 단차간의 오차를 매꿔주는 도포작업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 레이어 사이로 재료가 유입되어 몰드 겉면에 적층 라인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3D프린팅 몰드 작업시에는 반드시 후가공 작업을 진행하시는 것을 적극 권장드립니다.

다만드러에서는 RP(Rapid Prototype) 방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디자인목업 작업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제작관련 문의는 홈페이지 또는 메일로 연락주세요.

 

 

 

 

 

3D프린팅몰드 제작 상담받기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