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텐, 알루미늄 금속 3d 프린터 출력업체

∝포트폴리오/3D프린팅

by 뽀니 2022. 5. 23. 11:20

본문

오늘 포스팅에서는 금속 3D프린터를 출력한 시제품 제작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저희는 경상남도 창원에 위치하고 있는 3D프린팅 업체 다만드러입니다. 금속 3D프린터는 다소 생소하게 들리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D프린터라고 하면 필라멘트라고 부르는 롤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를 장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FDM 방식을 많이들 떠올립니다.

 

그러나 3D프린터도 재료와 적층 방식이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며 오늘 소개드리는 금속 3D프린터는 SLS 방식을 적용한 적층 가공 방법입니다. 스테인레스(SUS), 알루미늄(AL) 등의 재료를 적층하여 금속 시제품을 생산할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SLS란 분말 소결 방식을 말합니다. 스텐, 알루미늄과 같은 분말 입자에 고온의 레이저 빛을 조사하여 입자간의 결착을 통해서 3차원의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적층 방식을 말합니다. 금속 3D프린터 출력 방식의 특징은 기존의 CNC 가공에 비해서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의 범위가 매우 폭넓고, 다품종 소량생산에 유리하여 시제품 제작시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텐레스나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금속 샘플을 제작할 때 대부분 CNC 가공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러나 CNC는 원재료를 깎아서 제품을 가공하는 제조 방식의 특성상 공구가 닿을 수 없는 부위는 가공이 불가능하며 역시 공구보다 더 작은 치수는 작업이 어렵습니다. 또한 가공 할 수 있는 디자인의 범위도 많이 제한적이고 제조 공정이 대량생산에 초점이 맞춰진 기계 가공법으로 금속 시제품과 같은 다품종 소량생산이 요구 되는 작업에는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물론 단순한 형상을 구현하는데는 우수할 수 있으나 임펠러와 같은 특수한 형상의 가공품은 작업에만 수차례의 가공기계가 사용되며 이로 인해 1개 샘플을 제작하는데 발생하는 추가 공수와 인건비의 증가로 금속 시제품 제작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데 결정적인 요인이 됩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SLS 방식의 금속 3D프린터를 활용하여 스텐레스나 알루미늄과 같은 소재를 활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D프린터 출력 업체를 통해서 작업을 진행하실때는 제작 하고자 하시는 제품에 대한 2D 또는 3D형태의 CAD 설계 도면이 요구됩니다.

이같은 설계 도면을 참고하여 3D프린터 출력 업체에서는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료 소모량과 가공 시간 등 다양한 요소들을 점검하여 견적과 시간을 산출하기 때문에 3D프린팅을 활용한 금속 시제품을 제작하고자 하시는 경우에는 반드시 이와 같은 초기 제품에 대한 디자인 설계 도면 작업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대게의 금속 3D프린터 출력 업체에서는 스텐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를 활용한 시제품 제작은 물론 초기 제품 디자인 및 설계 작업이 불가능한 고객분들을 위하여 제품 설계 대행 업무도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작업을 요청하는 것에 큰 어려움을 없습니다.

저희 다만드러에서는 합리적인 가격과 우수한 품질로 스텐, 알루미늄과 같은 다양한 금속 재료를 활용하여 금속 3d프린터 출력 대행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제품 제작 관련 문의 및 기타 상담시에는 위에 소개드린 CAD 파일과 함께 소재, 수량에 관한 내용을 작성하여 보내주세요. 해당 자료를 보내주시면 금속 3D프린터 출력 전문가가 문의 하신 내용을 확인하고 상담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