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부터 비가 내리더니 저녁까지 비가 안 그치네요. 일하다 문득 창문 밖을 봤는데 안개가 잔뜩 껴서 멀리는 잘 보이지도 않는데 그래도 나름대로 운치 있고 좋네요.
최근 들어 비가 참 자주 오는 것 같아요.
예전에 비해 국내 적층가공기술이 많이 발전되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요, 특히 새로운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거의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 제품 제작, 모형, 디오라마, 목업, 시제품, 샘플 제작 등 다양하게 활용되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하나의 시제품 또는 샘플을 만들기 위해 많이 활용하는 플라스틱사출성형에 대해 알아볼게요.
플라스틱의 성형가공법으로 열가소성수지를 성형하는 방법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매우 작은 것부터 무게 10kg에 이르는 큰 것까지 성형할 수 있으며, 반복해서 사출하여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높습니다.
쉽게 말해 플라스틱 수지를 녹여서 원하는 제품으로 성형하여 만드는 제조 방법을 말합니다.
보통 플라스틱사출성형이라 하면 금형 사출에 많이 쓰이는 가공방법을 많이 생각하시는데요, 기계에 뜨거운 열을 가하여 안료를 끈적끈적한 형태로 만든 다음 스크류를 통해 금형으로 밀어 넣는데 이때 공정을 사출이라고 합니다.
꼭 금형사출기로만 만들 수 있는게 아니지요. 플라스틱 수지를 녹여서 제품을 만드는 방법은 또 있는데 그 기술은 바로 3d프린팅입니다.
적층가공기술을 활용한 플라스틱사출성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출성형이라 하면 플라스틱부품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제조 기술로 알고 있고, 대부분의 플라스틱제품은 사출성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소량으로 시제품 또는 샘플을 제작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3d프린터를 활용하면 됩니다.
최근 3D프린터가 대중화되면서 관심만 있다면 학교에서 배우거나 국가에서 지원하거나 만든 시설에서 실제로 제품을 볼 수도 있고, 저가 프린터의 경우에는 구매를 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 볼펜처럼 생긴 작은 3D Printer라고 불리는 3D펜으로 자유롭게 제품이나 장식품을 만들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처음 시중에 나왔을 때는 3D펜도 비싼편에 속했으나 현재는 가격이 많이 떨어져 부담없이 구매할 수 있습니다.
보통 제품개발이나 어떠한 아이템을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과정이 있는데요, 아이디어-기획-제품디자인-기구설계-시제품제작-금형설계-금형제작-생산 순으로 진행됩니다.
생산을 금형을 제작해서 사출하는 것을 말하는데 보통 사람들이 이 단계 전에 하는 것이 바로 시제품제작입니다.
왜 이러한 단계를 거치느냐..?
금형 제작 비용은 최소 몇백부터 많게는 몇억까지 들 만큼 비싼데요,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만큼 제품제작에 있어 신중해야 합니다.
정확한 이유는 컴퓨터로 보여지는 데이터로만 파악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고, 실제 도면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현장에서는 작업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예상치 못한 변수를 줄여주기 때문인데요, 시작품 제작 과정 없이 바로 금형 제작을 했는데 막상 제품을 받아보니 생각과 다르다거나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그 비싼 금형을 쓸 수 없어집니다.
시제품은 금형 제작 비용만큼 비싸지 않기 때문에 설계검증을 하면서 충분히 테스트해서 수정과정을 거쳐 비싼 금형을 제작하는 것이 비용도 아낄 수 있고, 시간도 아낄 수 있는 방법입니다.
프로토타입 제작 방법은 다양하지만 보통 cnc가공이나 AM(Additive Manufacturing) 기술을 많이 활용하는데 비용적인 부분에서도 그렇고, 도면만 있다면 수월하게 제작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적층가공기술을 활용한 플라스틱사출성형!
도면만 있다면 3d프린터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퀄리티 좋은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실 수 있습니다.
SLA3D프린터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20.04.22 |
---|---|
3D프린팅견적은 다만드러에 문의하세요. (0) | 2020.04.21 |
3D프린터견적 알아보고 계신가요? (0) | 2020.04.09 |
ABS수지 3D프린터가공 여기서 하세요. (0) | 2020.04.08 |
3D목업제작! RP가공으로 해요. (0) | 2020.04.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