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3D프린터를 활용한 시제품제작업체를 소개합니다.

∝포트폴리오/시제품제작

by 뽀니 2020. 2. 17. 17:31

본문

지난주 토요일까지는 날씨가 따뜻한 편이라 겨울이 다 지나갔나? 벌써 봄인가..? 했는데 일요일부터 갑자기 너무 추워져서 깜짝 놀랬네요. 오늘 출근길에 뭔가 날리길래 먼지인가? 했는데 눈이 날리더라구요. 물론 눈에 잘 보이지도 않고, 바로 녹아버렸지만요.

따뜻해졌다고 생각하고 옷 얇게 입으신 분들 많으실 것 같아요, 옷을 좀 따뜻하게 챙겨 입으시구 감기 조심하세요!

오늘은 3D프린터를 활용한 시제품제작업체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영어로 쓰인 것만 보면 ‘Damandler’ 무슨 뜻으로 만든 걸까?라고 의문을 가질 수 있겠지만 입으로 소리 내어 읽어보면 다만드러바로 .. 무언가 만드는 회사구나.’라고 생각하실거에요.

다만드러는 모형제작업체로 고객의 니즈(Needs)에 부합하는 맞춤형 주문제작으로 효과적인 방법으로 높은 퀄리티와 합리적인 가격을 보장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어떤 작업들을 진행하는지 제작 사례를 한 번 살펴볼까요?

먼저 FDM방식 3D프린터를 활용하여 만든 유물모형입니다.

아이들이 놀이할 수 있는 교구로 제작이 되었는데요, 조각이 이어지는 면마다 자석을 붙여서 아이들이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필라멘트 압출 방식(Fused Deposition Modeling)은 가는 실 같은 필라멘트 형태의 열가소성 물질을 고온의 노즐 안에서 녹여 얇은 필름 형태로 출력하여 한층 한층 적층해나가면서 형상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 방식의 경우 다양한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며 단순한 구조로 인해 대형화에 용이해서 산업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한다고 하네요.

그 다음 사례는 SLA방식 출력물들입니다.

여러 가지 특징이 있는 제품들인데요, 사진을 보면서 하나씩 설명해드릴게요!!

이 사진만 보면 꼭 어딘가 부품으로 사용하려고 제작한 것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데요, 이 방식으로 출력한 것 치고는 크기가 대략 30cm정도로 크기가 큰 편에 속합니다.

광경화적층방식은 레진(resin)이라는 액체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필요한 부분에만 투사하여 굳혀서 형태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출력품질은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방식에 비해 훨씬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레진이라는 재료는 화학약품이라서 출력 후에는 독성제거를 위해서 에탄올에 세척 해줘야 하는데요, 취급과 후가공에 주의해야 합니다.

위 사진에 보이는 출력물도 같은 방식으로 제작한 것으로 화이트가 아닌 다른 색으로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얇은 줄로 이루어진 출력물도 제작 가능합니다.

아무래도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방식은 아주 작고 얇은 줄로 이루어져 있는 섬세한 작업을 해야 하는 형상도 제작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이런 경우 서포트(support)를 많이 세워야 해서 후가공이 어렵고 번거로울 수 있지만 이런 형상도 고품질로 제작이 가능하다 보니 샘플 제작 시 3D프린터를 활용한 시제품제작업체 쪽으로 문의를 많이 하는 편입니다.

다음 사례는 SLA방식을 활용하여 투명한 출력물을 제작했는데요, PC(polycarbonate)와는 조금 다른 재질인 투명레진(ABS-like)을 적용한 출력물입니다.

3D Printer가 제일 처음 이슈를 몰고 왔을 때는 완전 투명은 제작이 안 되고 투시가 안 되는 불투명은 가능하다는 업체들이 많았었는데 1, 2년 점점 기술이 발달하고 새로운 시도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가능하게 된 것 같은데요, 현재는 투시가 될 정도로 투명하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금속3D프린터로 제작한 것인데요, 실제 알루미늄과는 조금 다르게 보이지만 그래도 여러 방식의 AM(Additive Manufacturing)으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 놀랍네요.

아래 사진은 위의 방식과는 다르게 SLA출력으로 제작한 출력물인데요, 사진으로만 보기에는 위의 출력물과는 다르게 뭔가 좀 더 쇠붙이에 가까워 보이네요.

.. 품질이 더 좋아보인다고 해야하나..ㅋㅋ

다음 사례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공장모형, 설비모형 또는 플랜트모형이라고 불리는 이 전시모형에는 무엇을 만들 때 RP 기술이 적용되었을까요?

이런 산업모형의 경우에는 전체를 다 Rapid Prototype로 제작할 수도 있고 아니면 NC가공과 함께 적절한 부분에 적용해서 제작하기도 합니다.

이 모형의 경우에는 이렇게 작은 부붐을 제작할 때 3D프린팅 후 후가공까지 거쳐서 제작을 하였고, 아래 자동차모형의 경우에는 전체를 다 3D출력을 통해 제작을 했습니다.

오늘 시제품제작업체 다만드러에서 제작한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해드리면서 3D프린터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해 다시 한번 느끼는 계기가 되었네요!

이 포스팅을 보시는 분들께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