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들어 3D프린팅 출력 관련 및 목업제작 쪽으로 많은분들이 상담요청을 주시고 있습니다. 그동안 운영해온 저희 블로그를 보면서 조금씩이지만 찾아오시는 고객분들에게 원하시는 정보들을 제공해드렸기 때문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물론 한동안 운영을 하다가 멈춰서 큰 효과를 기대하던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다시 티스토리를 시작하고 나서 부터는 조금씩이나마 저희 웹사이를 방문하고 연락주시는 분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모습을 보면 한편으론 걱정도 되면서도 또 나름대로 보람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오늘은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3D프린팅 출력사례를 소개해볼까 합니다.
위 사례는 SLA방식의 3D프린터로 제작한 시제품제작 사례입니다. 별도의 도색 작업을 진행하지 않았으며 후가공 작업을 거치지 않은 실제 출력 결과물입니다. 많은 분들이 3D프린팅업체를 통해서 시제품을 제작할때 투명한 제품도 제작이 가능한지 많이들 물어보시는데요. 물론 3D프린터를 통해서도 이렇게 투명한 소재를 얼마든지 사용해서 제품을 만들수 있는것은 물론 이렇게 별도의 후처리 작업 없이도 소재의 원색상을 이용해서 원하는 컬러의 아크릴 부품을 만들어 보실 수도 있습니다. 물론 기존의 아크릴에 비해서 내구성이나 내열성, 투명도는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실제 상품으로 판매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목업이나 샘플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합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다양한 SLA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각 부품들은 중국의 3D프린팅업체와 협업하에 진행한 사례입니다. SLA의 경우 최대 600mm*600mm*500mm 까지 제작이 가능한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량의 장비를 활용하여 소량생산뿐만 아니라 제품군에 따라서 100EA, 1,000EA의 작업도 충분히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흑색 ABS 광경화 수지를 적층해서 만든 출력물입니다. 투명도의 부분은 소재의 색상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불투명 소재를 알아보겠습니다. 역시 광경화수지 적층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위 제품역시 별도의 도색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흑색 ABS 수지를 사용해서 출력한 결과물입니다. 흑색 ABS역시 투명과 불투명 소재가 있으며 이렇게 별도의 도색과정에서 생기는 작업기간을 단축하고자 할때는 후가공작업을 진행하지 않고도 원하는 색상으로 표현이 가능한 소재를 사용해서 시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아무래도 표면에 도포되는 재료도 없고 샌딩이나 도색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1차적으로는 정밀도가 상당히 괜찮게 나오는 편이며 가장 큰 장점으로는 제작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색의 시제품제작 시에는 이렇게 컬러가 들어간 광경화수지를 적층하는 형태로 목업을 제작하시면 좋습니다.
위 소재는 흑색 나일론으로 출력한 부품입니다. 제작 방법은 분말소결이라고도 많이 부르는 SLS방식의 3D프린터로 제작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제작 공정과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3D프린팅업체는 국내에서 찾기도 드물지만 무엇보다고 제작비용이 부담스러울 수 있는데요. 다만드러에서는 중국 3D프린팅 전문 공장과 연계하여 높은 품질은 물론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비용으로 출력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D프린팅업체를 통해서 출력서비스 및 시제품, 목업제작과 관련된 작업을 필요로 하시는 분들은 저희 다만드러를 찾아주세요. 제작관련 상담과 더불어 제품의 형태, 용도, 기능 등 원하시는 요구사항과 조건들에 맞는 가장 최적화된 방법으로 공정을 설계하여 견적을 산출해드리고 있습니다.
제작관련 문의는 홈페이지나 메일로 도면과 수량, 용도 등 제품에 원하시는 요구조건들을 상세하게 기입하셔서 보내주시면 검토후에 답변 또는 상담을 도와드리고 있으니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지금까지 3D프린팅업체 다만드러였습니다.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3D프린터 시제품 제작 사례 (0) | 2019.04.22 |
---|---|
해양환경공단 3D프린팅 출력 사례 <3D사진> (0) | 2019.04.18 |
광경화조형방식의 3D프린터로 석고 방향제 몰드 제작한 사례 (0) | 2019.04.12 |
스마트폰목업 LCD 디스플레이 기술 소개용 (0) | 2019.03.20 |
목업제작 졸업작품부터 샘플제작까지 (0) | 2019.03.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