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FRP조형물의 모든 것!-② 스티로폼원형 제작

∝포트폴리오/조형물

by 뽀니 2020. 8. 20. 09:20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티로폼 원형 제작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나들이나 여행을 가면 흔히 볼 수 있고, 너도 나도 신나서 사진을 찍게 되는 그것!

바로 대형조형물인데요, 사람들이 많이 찾는 관광지나 카페, 공원 등 어딜 가든 필수로 남기는 사진으로 포토존을 구성해둔 곳이 많습니다.

최근에는 다른 사람들이 다녀온 곳의 후기를 보고 많이 가기 때문에 뭔가 특징이 되는 것들이 있으면 홍보도 더 잘 되고, 사람들도 많이 찾게 되는 것 같아요.

 

조형물제작 방법은 크게 디자인 및 설계-제작-설치 순으로 진행되는데 제작의 단계에서는 원형제작-FRP성형-후가공-도색-코팅 순으로 진행됩니다.

 

FRP란..?

 

조형물제작에 반드시 필요한 원형제작! 지금부터 제일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디자인, 설계부터 FRP조형물 제작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스티로폼 원형제작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테니 놓치지 말고 따라오세요!!

1. 상담

무엇을 제작하던지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상담, 기획이 아닌가 싶어요.

만들고 싶은 제품이나 물건이 있는데 직접 만들 수 없다면 전문업체에 문의하게 되는데요, 그때 어떤 것을 만들고 싶은지, 어떤 소재로 제작하고 싶은지, 금액은 얼마인지 상담을 하게 됩니다.

 

조형물 또한 마찬가지로 제일 첫 단계는 상담, 기획입니다.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를 먼저 고민해봐야 하는데 관광지에 설치하는 경우는 보통 그 지역의 특산품 캐릭터나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디자인으로 많이 제작하는 편입니다.

상담 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제작 요구사항들인데요, 여기에는 조형물이 설치되는 곳이 실내인가, 실외인가도 중요하고, 제작 소재와 색상, 사이즈, 무게, 설치 방법, 그리고 설치장소의 여유 공간과 예산 등 세세한 사항들이 모두 필요합니다.

 

이런 사항들을 전달받고 난 뒤 제작 가능 여부를 확인합니다.

디자인을 정해 온 경우 조형물제작 시 간혹가다 표현이 안 되는 경우도 있고, 주변 상황들 때문에 설치가 어려운 부분도 있기 때문에 충분히 조율하고, 만약 설치가 안 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면 제작이 가능한지, 가능 방안이 있다면 가능 방안에 대해서도 충분히 이야기 나눈 뒤 발주를 받고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2. 디자인, 설계

모형제작을 하려면 무엇을 만들지에 대한 디자인이 있어야 제작 가능합니다.

클라이언트 쪽에서 컨셉이나 디자인이 이미 정해진 상태이거나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시안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도면과 제작 요구사항들을 전달 받습니다.

 

만약 디자인은 없고, 대략적인 컨셉만 정해진 경우 충분한 상담을 진행한 후 디자인을 정하고 설계를 하는데요, 기존 데이터가 있는 경우 시안 수정이 필요하면 수정을 진행하고, 데이터가 아예 없는 경우에는 미리 컨셉 회의 내용을 토대로 디자인을 진행합니다.

 

보통 시안을 만들 때 2D형태로 많이 진행을 하는데 최근에는 3D형태로도 제작을 한다고 합니다.

제작 방법때문인데요, 원형을 제작할 때 스티로폼 조각을 수작업으로 모두 할 수 있고, 열선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CNC가공기로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3D데이터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3. 원형제작

디자인, 설계가 진행되면 제작에 있어서 가장 첫 단계는 원형 즉 마스터 제작입니다.

몰드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형을 만드는 단계라 하면 상기 원형을 이용해 형상과 같은 내벽 형상을 갖는 분해 가능한 복수 조각의 겉틀을 제작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겉 틀의 내벽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두께 형성재를 상기 겉 틀의 내벽에 더하여 제작될 조형물의 두께를 상기 두께 형성재의 두께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겉 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중심라인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두께 형성재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강 코어를 상기 복수 조각의 겉틀로 감싸면서 조립하고, 상기 두께 형성재와 보강 코어 사이에 속 틀의 제작을 위한 재료를 투입하여 복수 조각의 속틀을 제작합니다.

FRP조형물의 원형의 경우 스티로폼으로 조각을 해서 사용하는데 그 이유가 조각하기 쉬워서라고 하는데요, 커다란 정육면체의 스티로폼을 조각해서 만드는거죠.

 

원형을 무조건 스티로폼만으로 제작하는 것은 아니고 조형물 제작 방법이나 소재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집니다.

청동이나 브론즈로 동상을 만들 때는 녹인 청동을 입히기 때문에 찰흙으로 하고, 석고를 조각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브론즈란! 구리와 주석을 혼합해서 만든 합금으로 내구성이 좋고, 심미성도 뛰어나 상징적인 조형물에 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위인들의 조형물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스티로폼 원형제작을 위한 조각을 할 때는 우선 형상이 나오도록 조각을 진행하고, 그 위에 기타 재료들로 마감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데요, 기타 재료에는 우레탄, 에폭시, 핸드코트, 수성 방수용 워터 톱, GRC, FRP, 우레아 등이 포함됩니다.

 

조각하는 방법에도 다양한 도구를 사용해서 제작 할 수 있습니다.

일일이 손으로 다 조각을 하는 수작업, 열선을 이용해 제작하는 방법 그리고 CNC가공기를 가지고 조각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CNC가공기란??

computer numerical control의 약자로 컴퓨터 수치제어, 기계를 만드는 기계인 공작기계를 자동화한 것을 NC공작기계라고 합니다.

정밀하게 기계를 가공할 수 있지만 내장된 기능과 방법이 고정돼 간혹 오동작을 일으키기도 하는데요, CNC공장기계는 컴퓨터를 내장해 프로그램을 조정할 수 있어 오동작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컴퓨터로 설정한 수치 그대로 가공을 해주는 기계를 말하는 것입니다.

시티로폼 CNC조각기를 이용해 원형을 제작하고 싶다면 3D데이터가 있어야 하며 조각기로 불가능한 부분은 열선커팅기로 제작합니다.

기본적인 모델링이 된 상태에서도 가공기로 가공을 하려면 파일 수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수작업으로 진행을 할 경우 커다란 스티로폼에 시안을 토대로 스케치해서 조각을 진행하고, 어느 정도 형상이 완성되었다면 표면을 다듬는 작업을 합니다.

표면이 어느 정도 정리가 되면 시안과 비교해 부족한 부분을 조금 더 다듬은 뒤 클라이언트쪽에 검수를 받습니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원형의 디자인이나 형태를 꼼꼼하게 살펴봐야 합니다.

대충보고 오케이! 했더니 나중에 완성된 조형물과 차이가 나면 안 되니까요, 원형단계는 디자인 수정을 할 수 있는 최종단계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때 수정이 안 되면 그 뒤로는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물론 수정 가능하다고 해서 모든 요구조건을 다 받아서 수정해 주는 것은 아니고, 기존 시안과 조각이 다르게 나왔을 때 디자인 안에서 수정 가능하다는 것!! 참고해주세요.

이렇게 클라이언트까지 오케이를 하면 다음 단계를 넘어갑니다.

원형제작이 생각보다 손도 많이 가고, 스티로폼으로 조각을 하기 어려워 보이는데 가공기로도 조각할 수 있고, 수작업 또한 전문가의 손을 거치니 작품으로 탄생되다니~! 너무 신기하네요.

 

오늘은 FRP조형물의 모든 것! 2탄 기획, 디자인부터 스티로폼원형 제작에 대해 포스팅해보았는데요, 사실 처음에는 스티로폼으로 조각을 왜 굳이 해서 조형물을 만드나. . 하고 생각을 하기도 했는데 이 마스터가 조형물 제작의 기본이 된다고 하니 뭔가 신기하기도 하고, 조각을 하시는 분들이 대단해 보이기도 하네요~!!

다음 포스팅은 원형작업의 다음 단계!! 바로 FRP성형에 대한 포스팅을 가지고 돌아올께요!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